Surprise Me!

[김대호의 경제읽기] 고령인구 800만 명 돌파…4.3명 이 노인 1명 부양

2021-07-30 0 Dailymotion

[김대호의 경제읽기] 고령인구 800만 명 돌파…4.3명 이 노인 1명 부양<br /><br /><br />지난해 우리나라 인구 6명 중 1명은 65세 이상 노인이었던 것으로 나타났습니다.<br /><br />일할 수 있는 생산연령인구는 줄고 노인 인구는 늘어나면서 다음 세대의 부양 부담도 갈수록 커지고 있는 상황인데요.<br /><br />인구 고령화가 사회·경제에 미치는 영향, 알아보겠습니다.<br /><br />코로나19 사태 장기화로 인한 보복 소비로 백화점과 대형마트의 실적이 회복세를 보이고 있습니다.<br /><br />반면 동네 슈퍼마켓은 여전히 경영난을 겪고 있다고 하는데요.<br /><br />보다 자세한 내용, 에서 짚어보겠습니다.<br /><br />김대호 경제학 박사 자리해 있습니다.<br /><br />안녕하세요.<br /><br /> 지난해 65세 이상 고령인구가 800만 명을 넘으며 전체 인구의 16.4%를 차지했다는 조사 결과가 발표됐습니다. 반면 활발한 경제활동을 하는 생산연령인구는 역대 최대 감소 폭을 보였는데요. 생산인구가 계속 감소하면 국가 경제와 사회 등에서 어떤 문제가 발생할 수 있나요?<br /><br /> 고령화 현상뿐만 아니라 인구가 수도권에 집중되는 현상 또한 심화되고 있습니다. 이런 가운데 지난 1990년 이후 30년 만에 외국인 인구가 감소하는 모습을 보였는데요. 어떤 의미가 있다 보시나요?<br /><br /> 전체 인구 대비 고령인구 비율이 늘어나며 사회적 부담도 증가하고 있습니다. 특히 국민연금 등 세금과 복지를 누가 어떻게 부담할지 우려가 커지고 있는데요. 만약 현재와 같은 고령화 추세가 이어진다면 다음 세대가 부양해야 하는 부담 수준은 어떠할까요?<br /><br /> 인구 감소와 급속한 고령화는 우리 사회 전반에 상당한 변화도 주고 있습니다. 10가구 중 6가구는 1인·2인 가구로 국내 1인 가구 수도 역대 최대치를 기록하는 등 구조도 크게 바뀌고 있죠?<br /><br /> 정부는 그간 저출산·고령화 대책을 위해 매년 막대한 예산을 투입해왔는데요. 주요국에선 저출산 고령화 시대에 일자리 마련과 복지를 유지하기 위해 어떤 노력을 하고 있나요? 우리 정부가 참고할만한 내용도 있을까요?<br /><br /> 최근 백화점 매출이 4개월 연속 증가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습니다. 대형마트 매출 또한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는데 현상 어떻게 보고 계신가요? 그간 억눌려 있던 소비심리가 '보복 소비' 형태로 나타났다고 할 수 있을까요?<br /><br /> 이에 반해 동네 슈퍼마켓은 부진을 면치 못하는 모습을 보였는데요. 동네 상권이 여전히 경영난을 겪는 가장 큰 이유는 무엇일까요? 어떤 대책이 필요하다 보세요?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

Buy Now on CodeCanyon